-
Original Article
-
Assessment for Impact of Suspended Sediment on Survival of Benthic Invertebrates in River by Laboratory Experiments
실내 실험을 통한 하천 저서성 무척추동물의 생존에 관한 부유사 영향 평가
-
Taeuk Kang, Namjoo Lee, Myoung Chul Kim
강태욱, 이남주, 김명철
- Various organisms live in the river aquatic ecosystem and are affected by suspended sediment. There are some studies, methods, and criteria for …
하천 수생태계에는 다양한 생물군이 서식하고 있고, 부유사의 영향을 받는다. 부유사가 어류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 연구 사례와 방법 및 기준은 일부 존재하나, 저서성 …
- Various organisms live in the river aquatic ecosystem and are affected by suspended sediment. There are some studies, methods, and criteria for evaluating the impact of suspended sediment on fish species in the system, but there are no criteria to evaluate benthic invertebrates. In this study, in order to quantitatively analyze the impact of suspended sediment on the benthic invertebrates, survival experiments were conducted on Glyptotendipes tokunagai and Hydropsyche kozhantschikovi living in rivers according to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 and exposure duration.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and the results showed a high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In addition, regression equations were used to suggest criteria for evaluating the effects of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 and exposure period on benthic invertebrat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river management and for evaluating the impact of suspended sediment on various biota living in rivers.
- COLLAPSE
하천 수생태계에는 다양한 생물군이 서식하고 있고, 부유사의 영향을 받는다. 부유사가 어류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 연구 사례와 방법 및 기준은 일부 존재하나, 저서성 무척추동물을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은 부재하다. 이 연구에서는 저서성 무척추동물에 대한 부유사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하천에 서식하는 조각깔따구와와 줄날도래를 대상으로 부유사 농도와 노출 시간에 따른 생존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높은 결정계수를 보였다. 또한, 회귀식을 이용하여 부유사 농도와 노출시간이 저서성 무척추동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기준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하천 관리와 하천에 서식하는 다양한 생물군에 대한 부유사 영향을 평가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Assessment for Impact of Suspended Sediment on Survival of Benthic Invertebrates in River by Laboratory Experiments
-
Original Article
-
Drought Risk Prediction Method Using Machin Learning Based on Emergency Water Supply Data
비상급수 자료 기반의 기계학습 기법을 활용한 가뭄 위험도 예측 기법 개발
-
Junyeong Gil, Kyeungmin Moon, Seohyeon Kim, Ju-Young Shin
길준영, 문경민, 김서현, 신주영
- This study developed a methodology for predicting drought risk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s. While previous drought prediction studies have used various indices, …
본 연구는 인공지능 기법을 활용하여 가뭄 위험도를 예측하는 방법론을 개발하였다. 기존의 가뭄 예측 연구들은 다양한 지수를 활용했지만, 실제 피해 사례를 반영한 연구는 …
- This study developed a methodology for predicting drought risk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s. While previous drought prediction studies have used various indices, few have incorporated actual impact or damage resulting from drought events. Hence, this research attempted to use emergency water supply data to quantitatively evaluate and predict drought risk. Data were collected for the Jeolla region (Yeosu, Wando, Imsil, Jeongeup, Jangsu, Jangheung, and Goheung), including meteorological data (wind speed,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and sunshine hours), hydrological data (dam water levels and discharge), the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SPI), and emergency water supply data. RandomForest, XGBoost, and LightGBM were applied as drought prediction models, and their performance was evaluated in three scenarios. In Case 1, where data from all regions were combined for training and evaluation, all three models showed high accuracy. In Case 2, the data were divided by region for prediction, and most regions showed low performance except Wando. In Case 3, a model optimized for Wando was applied, resulting in high predictive accuracy. Wando island’s superior performance is presumed to be due to the availability of sufficient data from that region. Unlike previous research, this study confirms that using actual damage data allows for more practical and effective drought risk prediction.
- COLLAPSE
본 연구는 인공지능 기법을 활용하여 가뭄 위험도를 예측하는 방법론을 개발하였다. 기존의 가뭄 예측 연구들은 다양한 지수를 활용했지만, 실제 피해 사례를 반영한 연구는 부족하여 본 연구는 비상급수 자료를 활용하여 가뭄 피해의 위험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예측하는 기법을 개발하였다. 전라도 지역(여수, 완도, 임실, 정읍, 장수, 장흥, 고흥)을 대상으로 기상 데이터(풍속, 기온, 습도, 일조량), 수문 데이터(댐 수위 및 방류량), 표준강수지수, 비상급수 발생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가뭄 예측 모델로는 RandomForest, XGBoost, LightGBM을 적용하였으며, 3가지 사례(Case 1, Case 2, Case 3)로 성능 평가를 진행하였다. Case 1에서는 모든 지역의 데이터를 통합하여 학습 및 평가를 수행한 결과, 세 모델 모두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Case 2에서는 지역별로 데이터를 나누어 예측을 수행한 결과, 완도 지역을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에서 성능이 저조하였다. Case 3에서는 완도 지역을 대상으로 최적화한 모델을 적용한 결과, 높은 예측 정확도를 확인하였다. 완도 지역에서의 예측 성능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이는 해당 지역의 데이터가 충분히 확보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과 달리 실제 피해 데이터를 활용하여 보다 실질적인 가뭄 위험 예측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Drought Risk Prediction Method Using Machin Learning Based on Emergency Water Supply Data
-
Original Article
-
Characteristics of Total Sediment Load at Yeoju Station in Han-gang River
한강 여주대교 지점에서 총유사량 특성
-
Do Eon Kim, Sung-Uk Choi
김도언, 최성욱
- In Korea, a significant amount of sediment transport occurs in the rivers only during flood seasons. Sediment transport in the river affects …
우리나라 하천에서 유사이송은 주로 장마철 홍수기에 발생하며, 하천지형학적 변화와 생태계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기후변화 시대에 유사량의 정확한 예측은 하천관리에 매우 필수적이다. 본 …
- In Korea, a significant amount of sediment transport occurs in the rivers only during flood seasons. Sediment transport in the river affects the change in geomorphology and ecosystem of the river. Therefore, accurate prediction of sediment transport is very important to the management of the river in the era of climate chang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sediment load using the measured data at Yeoju Station in the Han-gang River. First, the annual change of the bed sediment and the impact of the flood on the distribution of bed sediment are investigated. The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otal sediment load and discharge is established. It is found that the total sediment load increases proportionally to the 2.189 power of the discharge, regardless of the year. Lastly, five total sediment load formulas, widely used currently, are applied, and the results are compared with the measured data. The present study will be useful in predicting the total sediment load in rivers in Korea.
- COLLAPSE
우리나라 하천에서 유사이송은 주로 장마철 홍수기에 발생하며, 하천지형학적 변화와 생태계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기후변화 시대에 유사량의 정확한 예측은 하천관리에 매우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한강의 여주 지점에서 측정된 유사량 자료를 이용하여 유사량의 수리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먼저, 하상토 분포의 경년 변화와 홍수가 하상토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측정자료를 이용하여 유량과 총유사량과의 관계를 구축하였다. 특정한 해에 상관없이 총유사량은 유량의 2.189승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기존에 널리 사용되는 5개의 총유사량 공식을 적용하여 측정자료와 비교하였다. 이 연구는 향후 우리나라 하천에서 총유사량을 예측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Characteristics of Total Sediment Load at Yeoju Station in Han-gang River
-
Original Article
-
Improving Flood Estimation Methods by Applying Probable Precipitation (Disaster Impact Assessment in Jeju Island)
확률강우량 적용에 따른 홍수량 산정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제주도의 재해영향평가를 중심으로)
-
Hong-Jun Jo, Dong-Wook Lee
조홍준, 이동욱
- During the consultation process for disaster impact assessments in Jeju Island, it is recommended to estimate probable precipitation by constructing isohyets that …
재해영향성평가 협의 시 제주도의 경우 수문지질학적 특성을 반영하기위하여 홍수량 산정시 고도반영이 가능한 등우선을 작도하여 확률강우량을 산정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하지만, 제주도의 경우 기상관측소의 …
- During the consultation process for disaster impact assessments in Jeju Island, it is recommended to estimate probable precipitation by constructing isohyets that reflect elevation, in order to account for the region's unique hydrological and geological characteristics. However, considering the high density of weather observation stations in Jeju and the fact that most development sites are small in scale (less than 50,000 m²) and located below 200 meters above sea level, it is considered reasonable to apply the probable precipitation values from nearby rainfall stations or use conventional methods such as the Thiessen polygon method for flood discharge estimation. A previous study (Cho, 2024) has already compared and analyzed the probable precipitation values derived from typical rainfall stations and those estimated using isohyets under the pre-disaster impact assessment system in Jeju. Nevertheless,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on flood discharge estim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refore,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flood discharge estimates derived from probable precipitation values obtained through rainfall stations and isohyetal methods to evaluate their influence.
- COLLAPSE
재해영향성평가 협의 시 제주도의 경우 수문지질학적 특성을 반영하기위하여 홍수량 산정시 고도반영이 가능한 등우선을 작도하여 확률강우량을 산정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하지만, 제주도의 경우 기상관측소의 설치 밀도가 높고, 대부분의 사업지구가 해발 200 m 이내에서 진행되는 50,000 m2 미만의 소규모인 점을 고려하면 홍수량 산정 시 우량관측소의 확률강우량을 적용하거나 Thiessen 방법을 이용하는 일반적인 방법을 적용하더라도 무리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미 제주도내 사전재해영향성 평가제도의 적용에 있어 일반적인 우량관측소의 확률강우량과 등우선에의한 지점확률강우량을 비교·분석한 연구(조, 2024)가 선행된 바 있으며, 선행연구에 의한 홍수량 산정등의 추가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량관측소 및 등우선에 의한 확률강우량을 적용한 홍수량을 비교분석하여 그 영향성을 검토하였다.
-
Improving Flood Estimation Methods by Applying Probable Precipitation (Disaster Impact Assessment in Jeju Island)
-
Original Article
-
A Comparative Analysis of Flood Discharge based on Hydrologic Soil Group Classification
수문학적 토양군 적용에 따른 홍수량 비교 및 분석
-
Kwon-Mun Ko, Dong-Wook Lee
고권문, 이동욱
- The primary objective of the Disaster Impact Assessment System is to mitigate disaster-causing factors resulting from flood runoff and soil erosion during …
재해영향평가제도의 주된 목적은 홍수유출량 및 개발중 토사유출량에 의한 재해 유발요인 차단에 있으며, 그 중 홍수유출량에 따른 저감시설 설치는 개발로 인한 대규모 침수피해를 …
- The primary objective of the Disaster Impact Assessment System is to mitigate disaster-causing factors resulting from flood runoff and soil erosion during development activities. Among these, the installation of flood runoff mitigation facilities is particularly significant, as it aims to prevent large-scale flood damage caused by development. To accurately estimate flood runoff, a preliminary analysis and application of Hydrologic Soil Groups (HSGs) is essential. This process is critical in ensuring the installation of appropriately sized mitigation facilities, thereby reducing the risk of flooding. However, discrepancies often arise between the detailed soil maps used as basic reference data for HSG classification and the actual soil types an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within a given development site. These inconsistencies can result in inaccurate flood runoff estimations. Therefore, this study calculates flood runoff volumes using HSG classifications based on both the detailed soil maps provid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and the actual soil characteristics observed within the project area. The resulting runoff volumes before and after development are then compared and analyz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flood mitigation measures. It has been confirmed that flood discharge estimates vary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 Hydrologic Soil Group (HSG). In order to accurately estimate flood discharge within Jeju Island, it is deemed necessary to continue research on the reclassification and refinement of HSG data.
- COLLAPSE
재해영향평가제도의 주된 목적은 홍수유출량 및 개발중 토사유출량에 의한 재해 유발요인 차단에 있으며, 그 중 홍수유출량에 따른 저감시설 설치는 개발로 인한 대규모 침수피해를 예방하는데 의의를 두고 있다. 홍수량 산정을 위하여 필수적으로 수문학적 토양군 분석·적용이 선행되어야 하며, 이는 적정 규모의 저감시설 설치로 인한 침수피해 등을 예방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홍수량 산정을 위해 수문학적 토양군 적용시 기초자료로 활용되는 정밀토양도와 실제 사업지구의 토양의 종류별 특성 및 분포상태가 상이하여 적정 홍수량 산정이 불가능한 사례가 발생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립농업과학원에서 제공되는 정밀토양도와 사업지구의 실제 토양의 종류별 특성등을 반영한 수문학적 토양군 적용에 따른 홍수유출량을 각각 산정하여 개발 전·후의 홍수유출 저감량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수문학적 토양군이 A형인 정밀토양도의 조건으로 산정된 홍수량이 D형으로 산정된 홍수량 대비 30년 빈도일 때 개발전 56.0%, 개발후 55.2%, 50년 빈도일 때 개발전 53.6%, 개발후 53.1% 감소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수문학적 토양군에 따라 산정되는 홍수량의 차이는 매우 크게 나타남을 확인할수 있으며, 제주도내에서 산정되는 홍수량을 정확히 산정하기 위하여 수문학적 토양군 자료의 재점립에 관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것으로 판단된다.
-
A Comparative Analysis of Flood Discharge based on Hydrologic Soil Group Classification
-
Original Article
-
A Study on the Appropriateness of Probabilistic Rainfall of Disaster Impact Assessment System in Jeju Island
소규모 우수유출저감대책에 따른 홍수 저감량 적절성에 관한 연구 (제주도를 중심으로)
-
Kwon-Mun Ko, Dong-Wook Lee
고권문, 이동욱
- Due to the global impact of climate change, including increased heavy rainfall and rainfall intensity,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
전세계적인 이상기후의 영향으로 집중호우 및 강우강도 증가됨에 따라 행정안전부에서는 자연재해대책법을 개정(2013)하여 지방자치단체장이 지역특성을 고려한 우수유출저감대책을 수립하도록 고시한바 있다. 현재, 제주특별자치도는 개정된 자연재해대책법을 …
- Due to the global impact of climate change, including increased heavy rainfall and rainfall intensity,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amended the Natural Disaster Countermeasures Act in 2013 to require local governments to establish stormwater runoff mitigation measures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istics. Currently,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has established stormwater runoff mitigation measures based on the amended Natural Disaster Countermeasures Act, taking preventive measures to mitigate urban flooding and other damages. However, since the flood calculation for stormwater runoff mitigation measures is based on the guidelines provided by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the most appropriate method for flood calculation applicable to Jeju Island. Therefore, in this study,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between the flood calculation methods outlined in the stormwater runoff mitigation measure guidelines and those in the Disaster Impact Assessment Practical Guidelines to evaluate the appropriateness of the flood calculation method.
- COLLAPSE
전세계적인 이상기후의 영향으로 집중호우 및 강우강도 증가됨에 따라 행정안전부에서는 자연재해대책법을 개정(2013)하여 지방자치단체장이 지역특성을 고려한 우수유출저감대책을 수립하도록 고시한바 있다. 현재, 제주특별자치도는 개정된 자연재해대책법을 근거로 지자체 우수유출저감대책을 수립하여, 도심지 침수피해 등을 사전에 예방하는 조치를 취하고 있다. 하지만, 우수유출저감대책 수립에 따른 홍수량 산정 시 행정안전부에서 제시하는 지침을 이용하고 있어 제주도에 적용하기 적절한 홍수량 산정 방법에 대한 고찰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홍수량 산정 시 우수유출저감대책 수립 지침과 재해영향평가 실무지침상의 홍수량 산정방법을 비교 분석하여 홍수 저감 목표량의 적정성에 관한 검토를 진행하였다.
-
A Study on the Appropriateness of Probabilistic Rainfall of Disaster Impact Assessment System in Jeju Island
-
Original Article
-
Study on Longitudinal Connectivity Analysis of Rivers According to Cross-Sectional Structures -Focusing on the Wonjucheon River Basin-
횡단 구조물에 따른 하천의 종적 연결성 분석 연구 -원주천유역 하천을 중심으로-
-
Dong-Jin Lee, Joongu Kang, Hong-Kyu Ahn
이동진, 강준구, 안홍규
- Cross-sectional structures in rivers block the flow of water in the river, causing changes in the physical aquatic environment, and the changed …
하천 내 횡단 구조물은 하천의 물 흐름을 막아 물리적 수환경의 변화를 야기하고 변화된 수환경으로 인하여 어류의 서식환경을 변화시킨다. 또한, 어류나 기타 수서생물의 …
- Cross-sectional structures in rivers block the flow of water in the river, causing changes in the physical aquatic environment, and the changed aquatic environment changes the habitat of fish. In addition, cross-sectional structures block the movement of fish and other aquatic organisms, thereby severing the longitudinal connectivity of the river ecosystem. In this study, the RCI method, which can calculate the longitudinal connectivity index of a river, was applied to analyze changes in longitudinal connectivity due to cross-sectional structures in the river and the effect of improving longitudinal connectivity by improving or demolishing structures was analyzed. Additionally, we calculated the Index of Weir’s Density (IWD) and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RCI and IWD. The study area was the main rivers of the Wonju-cheon River basin, including Wonju-cheon, Hwa-cheon, and Heungyang-cheon. The RCI for each river from 2000 to the present was calculated, and the changes in RCI during the improvement and demolition of structures were analyzed. As a result, Wonju-cheon and Hwa-cheon showed the same shape, but RCI decreased in the 2010s and now increased, and IWD increased in the 2010s and now decreased. The RCI of Heungyang-cheon gradually increased, and the IWD decreased. In addition, when the river cross-sectional structures were improved or removed, RCI increased and IWD decreased in all rivers. In all rivers, when the RCI value was high, IWD showed a low value. In order to increase the longitudinal connectivity of the aquatic ecosystem of the river,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density of weirs and improve or demolish non-functional cross-sectional structures.
- COLLAPSE
하천 내 횡단 구조물은 하천의 물 흐름을 막아 물리적 수환경의 변화를 야기하고 변화된 수환경으로 인하여 어류의 서식환경을 변화시킨다. 또한, 어류나 기타 수서생물의 이동도 막고 있어 하천생태계의 종적 연속성을 단절시키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하천의 종적 연속성 지수를 산출할 수 있는 RCI 방법을 적용하여 하천 내 횡단 구조물에 의한 종적 연속성에 변화를 분석하고 구조물의 개선, 철거에 따른 종적 연속성 향상 효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보 밀도 지수(IWD)를 산출하여 RCI와 IWD와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지는 원주천 유역의 주요 하천인 원주천, 화천, 흥양천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각 하천별 2000년대부터 현재까지의 RCI와 구조물의 개선, 철거시의 RCI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원주천과 화천은 동일한 형태로 나타났는데, RCI는 2010년대에 감소했다가 현재는 증가하였으며, IWD는 2010년대 증가하였다 현재는 감소하였다. 흥양천의 RCI는 점차 증가하였으며, IWD는 감소하였다. 또한, 모든 하천에서 기능이 떨어진 횡단 구조물을 개선, 철거하였을 경우 RCI는 증가하였고 IWD는 감소하였다. 모든 하천에서 RCI가 높으면 IWD는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연구결과, 하천의 수생태계 종적 연속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보 밀도를 낮추고 기능을 하지 못하고 용도가 사라진 횡단 구조물에 대해서는 개선, 철거가 필요하다.
-
Study on Longitudinal Connectivity Analysis of Rivers According to Cross-Sectional Structures -Focusing on the Wonjucheon River Basin-
-
Original Article
-
Analyses of Riparian Vegetation Establishment due to Flow and Sediment Regime Changes - A Case of the Byeongsanseowon Reach of the Upper-Middle Nakdong-gang River: (Ⅱ) Implication to River Management
흐름 및 유사이송 변화에 따른 하천의 수림화 현상 연구 - 낙동강 중상류 병산서원 구간 사례: (Ⅱ) 하천관리 시사점
-
Hyoseop Woo, Chang-Lae Jang, Kang-Hyun Cho, Won Kim, Daehyun Kim
우효섭, 장창래, 조강현, 김원, 김대현
- The phenomenon of a "white river" turning into a "green river," or the phenomenon of river forestation, is well known both domestically …
국내는 물론 국제적으로 화이트리버의 그린리버화 현상, 즉 하천의 수림화 현상은 주지의 사실이다. 중요한 것은 이러한 현상이 주는 하천관리 측면의 긍정적, 부정적 영향이다. …
- The phenomenon of a "white river" turning into a "green river," or the phenomenon of river forestation, is well known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What is important is the positive and negative impacts of this phenomenon on river management. This study aims to quantitatively evaluate the impact of this phenomenon on river flood risk management and to confirm the scientific validity of the river management practice of periodically removing trees. This study is a continuation of the related sister study (Ⅰ). It focuses on the river section in front of Byeongsan-Seowon, located in the middle and upper reaches of the Nakdong-gang River. This section started greening from 1991 to 1994 with following the introduction and establishment of vegetation. Since then, willow tree forestation has been in progress. However, all willow communities in the study reach were removed in 2024 for flood management purposes on the river.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when a tree community exists on a bar floodplain, it hinders the flow and restricts the river's flow capacity. In this study reach, the presence of a tree community at the 100-year frequency design flood concentrates the flow into the channel, generating a maximum flow velocity of 3.8 m/s. This value is about 15% greater than that in the case without trees. Such an increase in flow velocity increases the risk of bank erosion and bed scouring. At the same time, the channel shear stress increases, so sediment transport is more active in the channel bed than in the case without trees, whereas it is less active in the floodplain of the tree community. When the trees in the study reach were removed to leave only the gras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low compared to the original river condition (white river). Lastly, it was found that the removal of the trees in the study reach had the effect of lowering the flood level by up to 0.65 m for the 100-year frequency design flood.
- COLLAPSE
국내는 물론 국제적으로 화이트리버의 그린리버화 현상, 즉 하천의 수림화 현상은 주지의 사실이다. 중요한 것은 이러한 현상이 주는 하천관리 측면의 긍정적, 부정적 영향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현상이 하천 홍수위험관리에 주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여 주기적으로 수목을 제거하는 하천관리 관행의 과학적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는 관련 자매연구(Ⅰ)의 연속으로서 낙동강 중상류 병산서원 앞 하천구간을 대상으로 한다. 이 구간은 1991년 이후 1994년까지 식생이 이입, 활착 되어 천이를 거쳐 버드나무류 중심의 수림화가 진행되었으나, 2024년에 하천 홍수관리 차원에서 조사구간의 버드나무 군락은 모두 제거되었다. 본 연구결과 하천 사주에 수목군락이 있는 경우 수목군은 흐름에 지장을 주어 하천 통수능을 제한한다. 본 조사구간에서 100년 빈도 설계홍수량에서 수목군의 존재는 흐름을 하도에 집중시켜 최대 3.8 m/s 유속을 발생시킨다. 이 값은 수목군이 없는 경우에 비해 약 15% 큰 값이다. 이와 같은 유속 증가는 수목군 대안의 강턱침식 및 하상세굴 위험을 높인다. 동시에 하도 소류력이 증가하여 수목이 없는 경우에 비해 유사이송이 활발한 반면에 수목 홍수터에서는 식생으로 인해 유사 이송보다는 퇴적이 활발하게 된다. 조사구간의 수목을 제거하여 초본류만 남게 한 경우 당초 원 하천 상태(화이트리버)와 비교하여 흐름 차이는 크게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조사구간의 수목제거는 100년 빈도 설계홍수시 최대 0.65 m 정도의 홍수위 저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Analyses of Riparian Vegetation Establishment due to Flow and Sediment Regime Changes - A Case of the Byeongsanseowon Reach of the Upper-Middle Nakdong-gang River: (Ⅱ) Implication to River Management
-
Erratum
-
[Erratum]Analysis of Morphological Changes and Habitat Diversity Variations in Downstream River of Seomjin River Dam
[정오표]섬진강댐 하류하천의 지형학적 변화와 서식처 다양도 변화 분석
-
Tae Hyo Baek, Mikyoung Choi, Chang-Lae Jang
백태효, 최미경, 장창래
-
[Erratum]Analysis of Morphological Changes and Habitat Diversity Variations in Downstream River of Seomjin River D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