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Original Article

    Changes in Flora of Vascular Plants and a Proposal for Biodiversity Conservation in Dongbaekdongsan Wetland Protection Area, Jeju Island, South Korea

    제주 동백동산습지 습지보호지역의 식물상 변화와 관리방안

    Sangwook Han, Yeounsu Chu, Suhwan Kim, Sanghun Lee

    한상욱, 추연수, 김수환, 이상훈

    Jeju Island has developed and spread mountainous wetlands that are naturally filled with water on a terrain composed of volcanic ash and …

    제주도에는 화산재와 용암 침적물로 이루어진 지형에 자연적으로 물이 고인 산지습지가 발달 및 분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제주 동백동산습지의 연도별 관속식물 변화상을 파악하여 …

    + READ MORE
    Jeju Island has developed and spread mountainous wetlands that are naturally filled with water on a terrain composed of volcanic ash and lava deposi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annual changes in the flora of the Dongbaekdongsan wetland in Jeju, and to formulate an efficient management plan for the wetland protection area. Field surveys were conducted seasonally in 2012, 2017, and 2023. The drought outbreak in the wetland and the opening of a heavy equipment access road to remove Pine wilt disease in 2017 caused a slight decrease in the vascular flora, but by 2023 the habitat was stable and the number of species gradually increased. The resultant vascular flora consisted of 400 taxa in 109 families, 286 genera, 364 species, 9 subspecies, 24 varieties, and 3 varieties. Wetland plant species diversity increased from 2017 to 2023 with 31 new taxa of wetland plants, including Potamogeton distinctus, Caldesia pamassifolia, and others, as growing conditions gradually improved due to the formation of various water pools in the wetlands. The Dongabaekdongsan wetland is facing the risk of damage to the habitats of Jeju's endemic plants with high conservation value, such as Mankyua chejuensis, Daphne jejudoensis and a decline in the species diversity of the genus due to human disturbance caused by the influx of tourists and the spread of annual and Theorophytes (Th) and other organisms that disturb the ecosyste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nage the wetland ecosystem in a healthy manner by minimizing trampling pressure in the wetland through the blocking of non-exploration paths in the Dongbaekdongsan wetland in Jeju and the removal of ecosystem-disturbing organisms.


    제주도에는 화산재와 용암 침적물로 이루어진 지형에 자연적으로 물이 고인 산지습지가 발달 및 분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제주 동백동산습지의 연도별 관속식물 변화상을 파악하여 습지보호지역의 효율적인 관리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현장조사는 2012년, 2017년, 2023년에 걸쳐 계절별로 이루어졌다. 2017년에는 습지 내 가뭄발생과 소나무재선충 감염목 제거를 위한 중장비 진입로 개설로 인해 관속식물상이 다소 감소하였으나, 2023년에는 서식처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면서 종수가 점차적으로 증가하였다. 그 결과 관속식물상은 109과 286속 364종 9아종 24변종 3품종 총 400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습지식물은 습지 내 다양한 물웅덩이의 형성으로 인해 생육조건이 점차적으로 개선되어 2017년부터 2023년까지 가래, 둥근잎택사 등 31분류군의 습지식물이 새롭게 확인되어 종 다양성이 증가하였다. 제주 동백동산습지는 탐방객 출입으로 인한 인위적 교란, 일·이년생 초본(Th)과 생태계교란 생물 등의 확산으로 제주고사리삼, 제주백서향 등 보전 가치가 높은 제주 특산식물의 서식처가 훼손되고 관속식물의 종다양성이 저하될 위험에 직면해 있다. 따라서, 제주 동백동산습지 내 비탐방로 차단을 통한 습지 내 답압 최소화, 생태계교란 생물 제거 등으로 습지 생태계를 건강하게 관리할 필요가 있다.

    - COLLAPSE
    31 December 2024
  • Original Article

    Improvement of Sediment Discharge Estimation Models using Data Mining Techniques and Prediction of River Environmental Changes

    데이터 마이닝 기반 유사량 추정 모델의 성능 개선 및 하천 환경 변화 예측

    Eun-kyung Jang, Woochul Kang

    장은경, 강우철

    This study aimed to improve the accuracy of sediment discharge estimation models in river environments using data mining techniques, contributing to river …

    본 연구는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하천 환경에서 유사량을 추정하는 모델의 정확성을 개선하고, 이를 통해 하천 관리와 환경 변화 평가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

    + READ MORE
    This study aimed to improve the accuracy of sediment discharge estimation models in river environments using data mining techniques, contributing to river management and environmental change assessment. The performance of an existing model tree-based sediment estimation model was enhanced by incorporating the latest data from 2021 to 2023, and the improved model was analyzed by comparing it with actual observation data. The enhanced model showed high coefficients of determination in most river systems, with improved prediction accuracy compared to the existing model. Notably, it demonstrated excellent fit in the Yeongsan and Nakdong rivers, and improved performance was also observed in the lower sediment discharge range of the Han River. Furthermore, the study analyzed watershed environmental changes and erosion-deposition patterns by utilizing sediment rating curves, proving the potential for predicting river environmental changes.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continuous model improvement using the latest data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sediment discharge estimation. It demonstrates the potential application of the enhanced model in various fields, such as river management, flood control, and sediment management.


    본 연구는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하천 환경에서 유사량을 추정하는 모델의 정확성을 개선하고, 이를 통해 하천 관리와 환경 변화 평가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모델 트리 기반 유사량 추정 모델에 2021년부터 2023년까지의 최신 데이터를 추가하여 모델의 성능을 개선하였으며, 이를 실제 관측 데이터와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개선된 모델은 대부분의 수계에서 높은 결정 계수를 보이며, 기존 모델 대비 예측 정확성이 향상된 결과를 나타냈다. 특히 영산강과 낙동강에서는 우수한 적합도를 보였으며, 한강의 저유사량 범위에서도 개선된 성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가적으로 유사량 관계식을 활용하여 유역 환경 변화와 침식·퇴적 패턴을 분석함으로써, 하천 환경 변화 예측의 가능성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는 최신 데이터를 활용한 지속적인 모델 개선이 유사량 추정의 신뢰성을 높이는 데 중요함을 제시하며, 개선된 모델이 하천 관리, 홍수 및 퇴적물 관리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활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 COLLAPSE
    31 December 2024
  • Original Article

    Change in the Biomass, Production, and Carbon Dioxide Absorption of the Salix subfragilis Community at Namgang Dam Reservoir

    남강댐 저수지 선버들 군락의 현존량, 생산량과 이산화탄소 흡수량의 변화

    Ki Heung Kim

    김기흥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alix community in the Namgang Dam reservoir to understand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

    본 연구는 남강댐 저수지 내의 선버들 군락을 조사하여 선버들의 생장특성을 파악하고 현존량, 생산량 및 이산화탄소 흡수량 등을 추정하는 것이 목적이다. 남강댐 저수지내 …

    + READ M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alix community in the Namgang Dam reservoir to understand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Salix subfragilis and estimate its biomass, productivity, and carbon dioxide absorption. In 36 quadrats of the Namgang Dam reservoir, Salix subfragilis accounted for 89% and S. chaenomeloides accounted for 8%, meaning that the genus Salix dominated 97% of the forest. The average number of Salix subfragilis per quadrat was 46. The average diameter at breast height (D) was 10.9 cm. The average height (H) was approximately 11.40 m and the average crown area was 7.4 m2. The height of the 50 logged sample trees continuously increased from 4.8 m at 7 years of age to 14.4 m at 31 years of age. Allometric equations were derived from the dry matter weights of 18 sample trees. The biomass estimated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D2H and dry matter was in the order of stem, branches, and leafs. The estimated CO₂ absorption per unit area for the Salix community in the Namgang Dam reservoir based on annual averages of biomass and productivity increased from 1.56 tons/ha/year in 2012 to 22.26 tons/ha/year in 2022, and 31.87 tons/ha/year in 2023. These results are due to the expansion of the Salix subfragilis community area and individual tree growth. In addition, since Salix subfragilis made up about 89% of the surveyed trees, the estimated annual average CO2 absorption per unit area purely by the Salix subfragilis community was estimated to be 1.39 tons/ha/yr in 2012, 19.81 tons/ha/yr in 2022, and 28.36 tons/ha/yr in 2023.


    본 연구는 남강댐 저수지 내의 선버들 군락을 조사하여 선버들의 생장특성을 파악하고 현존량, 생산량 및 이산화탄소 흡수량 등을 추정하는 것이 목적이다. 남강댐 저수지내 36개 조사구의 조사대상목 중 선버들은 89%이고, 왕버들은 8%로서 버드나무속이 수림의 97% 차지하고 있었다. 조사구당 선버들 평균 본수는 46본, 평균 흉고직경 10.9 cm, 평균 수고는 약 11.40 m, 평균 수관면적은 7.4 m2 로 분석되었다. 벌목한 시료목 50 그루의 수고는 수령 7 년의 4.8 m에서 수령 31년에 14.4 m로 계속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18개 시료목의 건물량으로부터 상대생장식을 유도하였으며, 흉고직경(D)의 제곱과 수고(H)의 곱 D2H와 건물량의 관계에서 산정한 현존량의 크기는 줄기, 가지 및 잎의 순서였다. 조사구의 년도별 현존량과 생산량의 평균값을 적용한 남강댐 선버들군락의 단위면적당 이산화탄소 흡수량은 2012년 1.56 ton/ha/yr, 2022년 22.26 ton/ha/yr 및 2023년 31.87 ton/ha/yr 로 변화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선버들군락의 면적 확대와 개체의 성장 때문이다. 또한, 조사대상 수목 중 선버들이 약 89 %를 차지하므로 순수하게 선버들군락에 의한 단위면적당 연평균 이산화탄소 흡수량은 2012년 1.39 ton/ha/yr, 2022년 19.81 ton/ha/yr 및 2023년 28.36 ton/ha/yr로 추정되었다.

    - COLLAPSE
    31 December 2024
  • Original Article

    Analysis of Morphological Changes and Habitat Diversity Variations in Downstream River of Seomjin River Dam

    섬진강댐 하류하천의 지형학적 변화와 서식처 다양도 변화 분석

    Tae Hyo Baek, Mikyoung Choi, Chang-Lae Jang

    백태효, 최미경, 장창래

    This study quantitatively evaluads and analyzed temporal and spatial changes in the physical geomorphology and habitat structure of the river channel following …

    본 연구는 섬진강 다목적댐을 대상으로 댐 건설 이후 발생한 하천의 하도의 물리적 지형변화와 서식처 구조의 시간적 공간적 변화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분석하여 댐이 …

    + READ MORE
    This study quantitatively evaluads and analyzed temporal and spatial changes in the physical geomorphology and habitat structure of the river channel following the construction of the Seomjin River Multipurpose Dam. It examines the impact of the dam on river geomorphology and physical habitat changes. In particular, the study analyzes various aspects of downstream changes, including riverbed elevation, channel width, bed sediment size, habitat types, and habitat diversity indices, to asses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river and its ecosystem. The riverbed immediately downstream of the Seomjin River Dam exhibited armoring phenomena, exposing bedrock or cobbles. In the midstream area, local impacts such as hydraulic structures resulted in some bed degradation; however, overall riverbed elevation remained stable. The channel width varied due to the ge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eomjin River, alternating between wider sections and narrower areas. From 2003 to 2021, the sediment size downstream of the dam showed a coarsening trend. Thirteen habitat types were identified, and a habitat diversity index was calculated. Using aerial photographs from the 1970s, 1980s, and 2021, habitat types were categorized. The habitat diversity index increased across different segments: from 1.04 to 1.78 downstream of the dam, from 0.97 to 1.41 in the mid-upper Songjung area, and from 0.58 to 1.58 in the downstream Shinbi area. Over time, the Seomjin River has seen a decrease in sand and gravel areas in floodplains and bars, while the area of herbaceous and woody vegetation has expanded. Consequently, habitat types and diversity have increased.


    본 연구는 섬진강 다목적댐을 대상으로 댐 건설 이후 발생한 하천의 하도의 물리적 지형변화와 서식처 구조의 시간적 공간적 변화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분석하여 댐이 하천지형과 물리적 서식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특히, 섬진강 하류에서 하상고 변화, 하폭, 하상토 입경(D50), 서식처 유형 및 서식처 다양도지수를 다각적으로 분석하여 하천과 생태계의 상호작용을 분석하였다. 섬진강 댐 직하류 하상은 장갑화 현상이 나타났고 기반암이나 호박돌로 노출되었으나, 중류는 수리구조물 등의 건설에 의한 국부적인 영향으로 하상이 저하되지만, 전반적으로 하상고의 변동이 없고 안정화 되었다. 하폭은 섬진강의 지형적이 특성에 의하여 하폭이 넓은 구간과 좁은 수충부 구간이 반복적으로 나타났다. 섬진강댐 직하류에서는 2003년부터 2021년까지 하상토의 입경은 굵어지고 있다. 서식처의 유형은 총 13가지로 구분하여 서식처 다양성지수를 산정하고, 1970년, 1980년대, 2021년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서식처를 구분하였다. 구간별 서식처 다양도 지수는 섬진강댐 직하류 구간은 1.04에서 1.78로 증가하였다. 중상류에 위치한 송정지구는 0.97에서 1.41로 증가하였다. 하류에 위치한 신비지구는 0.58에서 1.58로 증가하였다. 섬진강은 시간에 따라 고수부지나 사주에서 모래자갈 면적이 감소하고 초본이나 수목의 면적이 증가하였으며, 서식처 유형과 서식처 다양성이 증가하였다.

    - COLLAPSE
    31 December 2024
  • Original Article

    An Open-Source Software-Based Unified Framework for Efficient Ecosystem Monitoring

    효율적인 생태계 모니터링을 위한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기반 통합 프레임워크

    Minwoo Oh, Hyohyemi Lee, Eun Ju Lee

    오민우, 이효혜미, 이은주

    Ecosystem monitoring has traditionally been performed by recording species and environmental data on paper, which is later digitized for analysis. However, this …

    생태계 모니터링은 생물종과 환경 데이터를 종이 야장에 기록하고, 이후 데이터를 전산화하여 분석하는 전통적인 방식으로 수행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공간 정보 수집의 …

    + READ MORE
    Ecosystem monitoring has traditionally been performed by recording species and environmental data on paper, which is later digitized for analysis. However, this approach is inefficient due to challenges in spatial data collection, input errors, and the time required for analysis preparation. This study proposes an integrated framework using open-source software (QGIS, QField, PostgreSQL/PostGIS, and R Shiny) to efficiently collect, store, and analyze data. This framework collects spatial and species information in the field through a mobile GIS collector QField, based on a GIS project file generated by QGIS according to the sampling design, and stores it in a relational database PostgreSQL/PostGIS in real time. Additionally, data is analyzed and visualized in real time using an R Shiny package, allowing immediate access to results. This approach improves data accuracy, saves time, and reduces costs compared to traditional methods, establishing a foundation for researchers to promptly utilize the data.


    생태계 모니터링은 생물종과 환경 데이터를 종이 야장에 기록하고, 이후 데이터를 전산화하여 분석하는 전통적인 방식으로 수행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공간 정보 수집의 어려움, 데이터 입력 과정에서의 오류, 분석 준비에 소요되는 시간 등으로 인해 비효율적이라는 한계가 존재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유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QGIS, QField, PostgreSQL/PostGIS, R Shiny)를 활용하여 생태계 모니터링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수집, 저장, 분석할 수 있는 통합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이 프레임워크는 모니터링 조사 계획에 따라 QGIS로 생성한 지리 정보 시스템 프로젝트 파일을 바탕으로 모바일 지리 정보 시스템 수집기 QField를 통해 현장에서 공간 정보와 생물종 정보를 수집하며, 실시간으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인 PostgreSQL/PostGIS에 저장된다. 또한 R Shiny 패키지를 이용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 및 시각화하여 결과를 즉시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존의 방식에 비해 모니터링 데이터의 정확성, 시간 절약, 비용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연구자가 신속하게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한다.

    - COLLAPSE
    31 December 2024
  • Original Article

    Application of Deep Learning Model to Detect Cracked Pixels in Images with Semantic Segmentation

    이미지의 균열 픽셀 탐지를 위한 딥러닝 모델의 적용과 의미론적 분할 활용

    Jaehyun Shin, Dong Sop Rhee

    신재현, 이동섭

    To apply damage detection methods through deep learning of crack images that could be used in water resources facilities, an image processing …

    본 연구에서는 수자원시설에서 활용될 수 있는 검출 기술로 균열 이미지의 딥러닝 학습을 통한 손상탐지 기법의 적용을 위하여 균열 손상 이미지 데이터를 수집, …

    + READ MORE
    To apply damage detection methods through deep learning of crack images that could be used in water resources facilities, an image processing algorithm that could detect crack damage image data was collected, utilized, and trained in this study. Using the U-Net structure based on convolution among deep learning techniques, we were able to classify crack damage areas within the image through classification for each pixel through learning and feature extraction of structural crack damage images. During this process, the activation map was visualized to check the model's response to crack features to determine which part of the image the model was focusing on. Crack detection results showed high accuracy and precision compared to the true value through image mask processing, confirming that this technique could be used for crack detection. The model learned in this study demonstrated detection capabilities of crack detection in acquired images as well as application to images of water resources facilities. It is expected to be used for monitoring safety diagnosis and evaluating water resources structures in the future.


    본 연구에서는 수자원시설에서 활용될 수 있는 검출 기술로 균열 이미지의 딥러닝 학습을 통한 손상탐지 기법의 적용을 위하여 균열 손상 이미지 데이터를 수집, 활용, 학습하여 이를 탐지할 수 있는 이미지처리 알고리즘의 적용을 수행하였다. 딥러닝 기법 중 합성곱을 기반으로 한 U-Net 구조를 활용하여 구조물 균열손상 이미지들의 학습과 특징 추출을 통하여 각 픽셀 별 분류를 통해 이미지 내에서 균열손상 부위를 분류해 낼 수 있었다. 이 과정 중 활성화 맵을 시각화하여 균열 특징에 대한 모델의 반응을 확인하여 모델이 이미지의 어느 부분에 주목하고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균열 검출 결과 이미지 마스크 처리를 통한 참 값과 비교하여 높은 정확도와 정밀도가 나타나 본 기법이 균열 탐지에 적용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학습된 모델은 취득한 이미지에서의 균열 검출을 비롯하여 수자원 시설물 이미지에 대한 적용에도 검출 능력이 드러났으며, 향후 수자원 구조물의 안전 진단 및 평가를 위한 모니터링에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COLLAPSE
    31 December 2024
  • Original Article

    Effects of Demographic and Meteorological Factors on Incidence of Heat-related Illness using Machine Learning

    머신러닝을 이용한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기상요인이 온열질환자 발생에 미치는 영향 분석

    Ah Reum Han, Taehoon Lee, Sun Jun Lee, Hansol Kwak

    한아름, 이태훈, 이선준, 곽한솔

    Increase of extreme temperatures, including heatwaves and tropical nights, is causing significant human and property damage worldwide. In South Korea, the number …

    기온상승과 폭염, 열대야 등 극한기온 일수의 증가로 전 세계적으로 인명과 재산 피해가 급증하고 있고, 국내에서도 온열질환자수는 폭우, 태풍으로 인한 인명피해보다 월등히 높으며 …

    + READ MORE
    Increase of extreme temperatures, including heatwaves and tropical nights, is causing significant human and property damage worldwide. In South Korea, the number of heat-related illnesses has exceeded fatalities from heavy rain and typhoons, showing a growing trend. Thus, proactive measures are urgently needed. This study aimed to predict the number of heat-related illness occurrence using sociodemographic and meteorological factors from 229 districts in South Korea. Data from the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2021–2023), including heat-related illness cases, 24 of 35 sociodemographic variables and 32 of 70 meteorological variables, were anlyzed for model development. A prediction model was built using machine learning models (Ridge, Support Vector Regressor, Decision Tree Regressor, Gradient Boosting, Random Forest Regressor, XGBoost, LightGBM) to forecast the number of heat-related illnesses per 100,000 people. The XGBoost model (R² = 0.76) showed the highest explanatory power. Sociodemographic factors such as non-urban population (%), apartment housing area (%), nursing medical institutions status, and population over 65 years old (%) were the most important variables contributing to the increased occurrence of heat-related illnesses. Among meteorological variables, variables indicating sustained high temperatures, such as consecutive days with minimum temperature ≥ 25°C and cumulative days with maximum temperature ≥ 29°C, showed higher importance. These results emphasize that the number of heat-related illnesses is influenced not only by social systems and structures, but also by combined effects of vulnerable populations and meteorological factors. Thus, comprehensive strategies addressing both sociodemographic and meteorological factors are needed for effective prevention.


    기온상승과 폭염, 열대야 등 극한기온 일수의 증가로 전 세계적으로 인명과 재산 피해가 급증하고 있고, 국내에서도 온열질환자수는 폭우, 태풍으로 인한 인명피해보다 월등히 높으며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어 적극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본 연구에서는 온열질환자 발생을 229개 시군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인자와 기상인자를 사용하여 예측하고자 한다. 질병관리청에서 제공하는 229개 시군구 단위 온열질환자 발생자정보(2021 ~ 2023)와 파생변수를 포함한 인구사회학적 변수 35개 중 24개, 기상변수 70개 중 32개의 변수를 선정하여 온열질환자수 예측 모델을 구축하였다. 전국 229개 지자체를 대상으로 인구 10만명당 온열질환자수를 예측하는데 적용한 기계학습 모델(Ridge, Support Vector Regressor, DecisionTreeRegressor, Gradient Boosting, RandomForestRegressor, XGBoost, LightGBM)을 각각 사용하여 개발되었고, 가장 설명력이 높은 모델은 XGBoost (R2 = 0.76)이었다. 온열질환자 발생수와 관련이 높은 인구사회학적 중요 변수는 비도시인구(%), 공동주거시설면적(%), 요양의료기관현황, 65세 이상 인구수(%)와 같은 인구사회학적 인자였다. 기상변수 중에서는 일최저기온 25°C 이상 연속일수, 일최고기온 29°C 이상 누적일수와 같은 고온의 지속성에 대한 중요도가 높았다. 온열질환자수 예측 모델의 주요 변수 특성을 고려할 때, 열 스트레스로 인한 인명피해는 사회시스템과 구조의 영향이 크지만, 취약 인구와 기상 인자간 복합적인 영향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온열질환자 발생 예방 관리를 위해서 취약 집단, 지역 등과 같은 단일 인자들을 대상으로 접근하기보다 인구사회학적 인자, 기상 인자 모두를 고려한 종합적인 취약집단과 지역을 도출한 세심한 관리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온열질환자 발생 예방 관리를 위해서 인구사회학적 인자와 기상인자를 고려해 취약집단과 지역에 대한 세심한 관리대책을 수립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 COLLAPSE
    31 December 2024
  • Original Article

    One-Dimensional Bed Change Prediction using Sediment Discharge Estimation under Ungauged Boundary Conditions

    미계측 경계 조건에서의 유사량 추정 기반 1차원 하상 변동 분석

    Eun-kyung Jang, Woochul Kang

    장은경, 강우철

    In this study, a one-dimensional bed change model was analyzed for the downstream section of the Gamcheon, and the sediment discharge was …

    본 연구에서는 감천 유역 하류 구간을 대상으로 1차원 하상 변동 모델을 구축하고, 미계측 경계 조건에서의 유사량 추정하여 이를 기반으로 한 하상 변동 …

    + READ MORE
    In this study, a one-dimensional bed change model was analyzed for the downstream section of the Gamcheon, and the sediment discharge was estimated under unmeasured boundary stations address at the upstream point, Jipum-gyo, the estimation methodology of Jang et al. (2023) was applied to calculate missing observations. In addition, the sediment discharge was compared with that of the Gimcheon-gyo, an observation station in the Gamcheon. Using the two sediment data, one-dimensional bed change modeling was applied. The results of bed change analysis based on the sediment discharge showed a relatively large difference between the estimated and observed values in the upstream section. However, the two results gradually aligned as observations were made downstream. This proves that accurate sediment discharge data should be acquired when analyzing bed changes in boundary conditions. Furthermore,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estimated sediment discharge data under unmeasured boundary conditions can be sufficiently utilized in bed change modeling.


    본 연구에서는 감천 유역 하류 구간을 대상으로 1차원 하상 변동 모델을 구축하고, 미계측 경계 조건에서의 유사량 추정하여 이를 기반으로 한 하상 변동 분석을 수행하였다. 상류 지점인 지품교에서 관측된 유사량 데이터가 부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Jang et al. (2023)의 유사량 추정 방법론을 적용하여 미계측 지점의 유사량을 추정하였으며, 이를 유입 유사량으로 활용하였다. 또한 유역 내 유사량 관측소인 김천교 지점의 유사량과 비교하고, 두 유사량 데이터를 활용하여 1차원 하상 변동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추정된 유사량을 바탕으로 한 하상 변동 분석 결과, 상류 구간에서는 추정값과 관측값 간의 차이가 비교적 컸으나, 하류로 갈수록 점차 두 결과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이를 통해 하상 변동 분석시 경계조건에서 정확한 유사량 값이 활용되어야 함을 입증하였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미계측 경계 조건에서 추정된 유사량 데이터가 하상 변동 모델링에서 충분히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 COLLAPSE
    31 December 2024
  • Original Article

    Disaster Prevention System of Urban Parks Hierarchy in Tokyo-do, Japan

    일본 도쿄도 도시공원의 위계에 따른 방재시스템

    Ai Ran Lee

    이애란

    This study recognized the role of urban parks as safe evacuation spaces for urban residents' disasters. It also analyzed Japan's Tokyo Metropolitan …

    본 연구는 도시민의 재해에 대비한 안전한 대피공간으로서 도시공원의 역할을 인식하고, 우리나라와 인접해 유사한 환경과 재해를 겪고있는 일본의 도쿄도 도시공원들을 사례로 분석하였다. 도쿄도는 …

    + READ MORE
    This study recognized the role of urban parks as safe evacuation spaces for urban residents' disasters. It also analyzed Japan's Tokyo Metropolitan City Parks known to be experiencing similar natural environments and disasters adjacent to Korea. According to the hierarchy of urban parks, Tokyo operated by dividing the space, facilities, and operations of metropolitan parks, neighborhood parks, and small parks in charge of disaster prevention functions. Only discussions and guidelines for disaster prevention have been presented so far in Korea without creating a park as a city-based safety system. Through systematic creation of urban disaster prevention parks in Tokyo and empirical analysis of the operating system, an implementation plan was proposed.


    본 연구는 도시민의 재해에 대비한 안전한 대피공간으로서 도시공원의 역할을 인식하고, 우리나라와 인접해 유사한 환경과 재해를 겪고있는 일본의 도쿄도 도시공원들을 사례로 분석하였다. 도쿄도는 도시공원의 위계에 따라 광역권 공원, 근린공원, 소공원으로 방재 기능을 담당하는 공간과 시설, 운영에 대한 역할과 시스템을 구분하여 작동시키고 있었다. 우리나라는 아직까지 방재에 대한 논의와 가이드라인만 제시된 반면, 도시 기반의 안전시스템으로서 공원을 조성하지 않고있다. 도쿄도 내 도시방재공원들의 체계적인 조성과 운영시스템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통해 실행방안을 제안하였다.

    - COLLAPSE
    31 December 2024
  • Original Articl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urbidity and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in the Upper Stream of Soyang River Dam

    소양강댐 상류 탁도와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의 관계 분석

    Mikyoung Choi, Jewan Ryu, Jongho Ahn

    최미경, 류제완, 안종호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mpact of turbidity on aquatic ecosystems by proposing turbidity-related and ecosystem-related variables and conducting correlation analyses. …

    본 연구는 환경부에서 제공하는 생물측정망 데이터를 활용하여 탁수가 수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소양강댐 상류를 대상으로 탁수와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의 상관분석을 수행하였다. …

    + READ M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mpact of turbidity on aquatic ecosystems by proposing turbidity-related and ecosystem-related variables and conducting correlation analyses. The study area includes the upper stream of Soyanggang Dam (Inbukcheon, Naerincheon, and Soyanggang) utilizing turbidity data and biomonitoring data for benthic macroinvertebrates. Appropriate variables for analysis were proposed, and correlation analyses were performed. The results indicate that among turbidity-related variables, cumulative turbidity can serve as a representative metric. As cumulative turbidity increases, the population density of functional feeding groups such as Collector-Filters, Collector-Gatherers, and Scrapers tends to decrease. Additionally, the population densities of Ephemeroptera (mayflies) and Trichoptera (caddisflies) also decline. Conversely, as cumulative turbidity increases, the proportional density of Ephemeroptera rises, suggesting an increase in the relative abundance of Collector-Gatherers, whereas the proportions of Collector-Filters and Scrapers decrease. Future research involving reliability analysis of the data and an expansion of study areas is necessary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techniques for assessing the impacts of turbidity on aquatic ecosystems.


    본 연구는 환경부에서 제공하는 생물측정망 데이터를 활용하여 탁수가 수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소양강댐 상류를 대상으로 탁수와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의 상관분석을 수행하였다. 탁수 관련 변수로는 생물조사 시기 탁도 농도, 생물조사 시기 이전 6개월 간 탁도의 농도와 지속시간을 고려한 탁도누적합, 탁도 20, 40, 100 NTU 초과 기간, 탁도 최대값을 사용하였다.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에 관련된 변수로는 총 개체밀도 및 종수, 섭식 별, 무리 별 개체밀도 및 개체비율로 설정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탁도와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군집 간의 높은 상관관계를 도출하는 것은 어려웠으나 일부 변수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탁도누적합이 증가할수록 주워먹는 무리(Collector-Gatherers), 걸러먹는 무리(Collector-Filerers), 긁어먹는 무리(Scrapers), 하루살이목(Ephemeroptera), 날도래목(Trichoptera)의 개체밀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탁도 증가와 하루살이목의 개체밀도 점유 비율은 약한 상관성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 경향을 나타냈다. 본 연구는 향후 데이터 신뢰도 분석 및 연구 대상 지역 확대를 통하여 탁수에 의한 수생태계 영향 평가 기술 개발에 기여하고자 한다.

    - COLLAPSE
    31 December 2024
  • Original Article

    Application of Big Data-based Feature Selection Methods for Establishment of Suitable Species Distribution Models

    종분포모델 도출을 위한 빅데이터 기반 변수선택방법 적용 연구

    Jieun Oh, So-yeon Kwon, Ah Reum Han, Seungbum Hong

    오지은, 권소연, 한아름, 홍승범

    Species distribution models (SDMs) are commonly used to predict how climate and environmental changes impact species and to inform conservation strategies. These …

    종분포모델(Species Distribution Models, SDMs)은 기후 및 환경의 변화가 생물종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여 생물종의 보전 전략을 도출하기 위해 널리 사용된다. SDM은 경험기반의 모델로서, …

    + READ MORE
    Species distribution models (SDMs) are commonly used to predict how climate and environmental changes impact species and to inform conservation strategies. These empirical models are particularly advantageous because they can generate predictions even when there is limited prior research on the habitat-determining factors of target species. However, many previous studies using SDMs have relied on a narrow range of climate and environmental variables (typically 19 bioclimatic variables) and a few geographical data for model input selection resulting with a simplistic approach that creates uncertainties in the representation of simulated habitats. To address this limitation, this study constructed a Big Data repository containing over 200 climate and environmental variables and employed exploratory data analysis (EDA) methods for feature selection to build robust input datasets for SDMs. To assess the suitability of the selected input data and the predictive accuracy of the models, experiments were conducted on Abies koreana, a species whose habitat's climate and environmental factors are relatively well-studied.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feature selection method, combined with the climate-environmental Big Data, effectively extracts plausible habitat-determining factors for target species leading to the development of more accurate and suitable SDMs.


    종분포모델(Species Distribution Models, SDMs)은 기후 및 환경의 변화가 생물종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여 생물종의 보전 전략을 도출하기 위해 널리 사용된다. SDM은 경험기반의 모델로서, 연구 대상종의 서식환경요인에 대한 선행연구가 부족하더라도 예측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SDM을 활용한 연구들의 대부분은 입력자료 구축 시 매우 제한적인 수의 변수목록(예, 19개 생물기후변수 및 그 밖에 몇몇 지리학적 변수)과 단순한 변수 선택방법(예, 상관분석)에만 의존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예측 결과의 대표성을 낮추는 불확실성을 초래한다. 이러한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광범위한 기후 및 환경관련 변수 목록 200개 이상의 빅데이터를 구축하고, 탐색적 데이터 분석(Exploratory Data Analysis, EDA) 기반의 입력변수 선택방법을 통해 최적의 종분포모델을 도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대상종은 입력변수 선택의 적합성과 구축된 모델의 예측 정확도를 평가하기 위해 서식지의 기후-환경 요인이 비교적 잘 연구된 구상나무(Abies koreana) 이다. 결과에 의하면, 빅데이터를 활용하였을 때 연구 대상종의 모델링을 위해 적합한 서식환경 결정 요소의 도출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생태학적 정보가 부족한 생물종들을 대상으로 분포 예측모델을 구축할 때, 빅데이터 기반의 변수선택 방법 도입을 통해 최적의 서식환경 결정 요소들을 도출 확률을 높이고, 결과적으로는 예측결과의 정확도를 높이는 접근 방법임을 시사한다.

    - COLLAPSE
    31 December 2024
  • Original Article

    Effect of Lead, Arsenic and Cadmium on the Growth and Metal Accumulation of Salix gracilistyla Miq. in Metal Contaminated Soil

    중금속 인공토양에서 갯버들의 생육특성과 중금속 흡수에 납, 비소 및 카드뮴의 영향

    Seung Jin Joo, Yujin Kim, Keum Chul Yang

    주승진, 김유진, 양금철

    A pot experiment was conducted using soil contaminated with heavy metals such as lead, arsenic, and cadmium to investigate the tolerance and …

    납, 비소 및 카드뮴으로 인공적으로 오염된 토양을 제조하여 온실에서 16주동안 자생식물인 갯버들에 대한 중금속의 내성과 축적을 조사하기 위해 화분 실험을 수행하여 식물복원에 …

    + READ MORE
    A pot experiment was conducted using soil contaminated with heavy metals such as lead, arsenic, and cadmium to investigate the tolerance and accumulation of these metals in the Korean native plant Salix gracilistyla Miq.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in a greenhouse over a period of 16 weeks, during which the plant's potential for use in phytoremediation was also evaluated. Soil was spiked with arsenic at concentrations of 25, 50, 100, and 200 mg kg-1; lead at 400, 800, 1600, and 3200 mg kg-1; and cadmium at 20, 40, 80, and 160 mg kg-1. The results showed that Salix gracilistyla Miq exhibited resistance to heavy metals at all concentration levels. The concentration of heavy metals in the plant generally increased as the concentrations of lead, arsenic, and cadmium in the soil increased. In the 3200 mg kg-1 lead treatment group, the underground parts showed the highest accumulation at 14,460.7 mg kg-1. In the 200 mg kg-1 arsenic treatment group, the underground parts showed the highest accumulation at 1,681.3 mg kg-1. In the 160 mg kg-1 cadmium treatment group, the underground parts showed the highest accumulation at 1,802.5 mg kg-1. Lead showed significantly higher accumulation (approximately 46.0–54.3 times) in the underground parts compared to the aboveground parts. The accumulation of lead, arsenic, and cadmium in whole plants increased with higher soil concentrations of these metals. However, the total accumulation per plant was highest in the 100 mg kg-1 soil arsenic treatment, with accumulation values of 53,661.6 µg plant-1 for 3200 mg kg-1 lead, 3,703.0 µg plant-1 for 100 mg kg-1 arsenic, and 6,753.8 µg plant-1 for 160 mg kg-1 cadmium. The plant translocation factor (TF) was highest for cadmium among the three heavy metal treatments. The bioaccumulation factor (BCF) for the plants was greater than 1 in the arsenic and cadmium treatments but less than 0.1 in the lead treatment. The photosynthetic rates of Salix gracilistyla increased sharply with rising light intensity, plateauing at intensities around 300–1000 μmol m-2 s-1. In the lead, arsenic, and cadmium treatment groups, there was little net photosynthetic response to changes in photon flux density (PPFD) at the highest heavy metal concentration levels. Notably, soil contamination with arsenic had the greatest inhibitory effect on physiological photosynthetic activity compared to the other heavy metal treatmen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Salix gracilistyla survived in soil contaminated with high concentrations of metals and accumulated lead in its roots, suggesting its potential for phytoremediation of soil contaminated with a mixture of lead, arsenic, and cadmium.


    납, 비소 및 카드뮴으로 인공적으로 오염된 토양을 제조하여 온실에서 16주동안 자생식물인 갯버들에 대한 중금속의 내성과 축적을 조사하기 위해 화분 실험을 수행하여 식물복원에 사용할 수 있는 잠재력도 평가하였다. 토양에 25, 50, 100, 200 mg/kg 비소, 400, 800, 1600, 3200 mg/kg 납, 20, 40, 80, 160 mg/kg 카드뮴을 첨가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갯버들(Salix gracilistyla)은 모든 농도 수준에서 중금속에 대한 내성을 보였다. 식물의 중금속 농도는 일반적으로 토양의 납, 비소, 카드뮴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3200 mg/kg 납 처리구에서 지하부는 14460.7 mg/kg로 가장 높은 축적을 보였고, 200 mg/kg 비소 처리구에서 지하부는 1681.3 mg/kg로 가장 높은 축적을 보였고, 160 mg/kg 카드뮴 처리구에서 지하부는 1802.5 mg/kg로 가장 높은 축적을 보였다. 납은 지하부에서 지상부보다 더 높은 축적(약 46.0~54.3배)을 보였다. 식물 개체당 납, 비소 및 카드뮴 총 축적량은 토양 납, 비소 및 카드뮴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했으나, 비소의 경우 3단계 농도 구배인 100 mg/kg 비소 처리에서 식물 개체당 총 축적량이 가장 높았다. 축적량은 각각 3200 mg/kg Pb, 100 mg/kg As 및 160 mg/kg Cd에서 53661.6, 3703.0 및 6753.8 µg/plant이었습니다. 또한 지하부에서 지상부로의 중금속 이동계수(TF)는 세 중금속 처리 중 카드뮴에서 가장 높았고, 토양 중금속의 생축적계수(BCF)는 비소 및 카드뮴 처리에서 1보다 높았지만 납 처리에서는 0.1 미만이었다. 갯버들의 순광합성 속도는 광량자속밀도(PPFD)가 점차 상승함에 따라 증가했으며 300–1000 μmol m-2s-1 정도의 강도에서 비교적 안정화되었다. 가장 높은 4단계 중금속 농도 수준에서 광량자속밀도(PPFD)의 변화에 ​​대한 순광합성 반응이 거의 없었다. 특히 비소로 오염된 토양은 다른 중금속 처리에 비해 생리적 광합성 활성에 가장 큰 억제 효과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S. gracilistyla는 고농도의 중금속으로 오염된 토양에서 생존하였고 지하부에 납을 고농도로 축적하여 납, 비소 및 카드뮴으로 오염된 토양의 식물복원에 대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했다.

    - COLLAPSE
    31 December 2024
  • Short Communications

    In-depth Review of UNEA-6 and National Strategies to Climate Change, Biodiversity Loss, and Pollution and Waste Management Challenges

    UNEA-6 개최 의의에 관한 심층 분석 및 기후변화, 생물다양성 손실, 오염과 폐기물 문제 해결을 위한 국내 대응

    Jiae An, Jiwon Kim

    안지애, 김지원

    Earlier this year, the sixth session of the United Nations Environment Assembly (UNEA) was held in Nairobi, Kenya. UNEA-6 was centered on …

    올해 초 케냐 나이로비에서 제6차 유엔환경총회(UN Environment Assembly, UNEA)가 개최되었다. UNEA-6는 기후변화, 자연과 생물다양성 손실, 오염과 폐기물의 전 지구적 삼중 위기와 이를 …

    + READ MORE
    Earlier this year, the sixth session of the United Nations Environment Assembly (UNEA) was held in Nairobi, Kenya. UNEA-6 was centered on the global triple climate change crisis, nature and biodiversity loss, pollution and waste, and multilateralism to address them. Since 2014, the UNEA has discussed major environmental issues such as sustainable development, the atmosphere and marine environment, pollution and waste, and poverty. Climate change (warming) has been discussed since the late 1980s, but despite efforts such as the Paris Agreement, the 1.5°C threshold is expected to be exceeded as early as 2027. Biodiversity is another area where, despite the Aichi Targets, only six of the 60 targets are making progress, with the rest judged to be either unchanged or not on target. The discussion on plastics (pollution and waste), which has only recently been discussed for an international convention, has also not made much progress due to interests. Although the 5th Intergovernmental Negotiating Committee was held in Busan, South Korea in November 2024, no international agreement was reached. In addition to this, Korea has been discussing ways to respond to the IPCC 7th Assessment Cycle and its report and joining the TNFD Forum. It is believed that practical actions will be the key to solving the problem in the future, not just quantitative international consultations and enactment of provisions.


    올해 초 케냐 나이로비에서 제6차 유엔환경총회(UN Environment Assembly, UNEA)가 개최되었다. UNEA-6는 기후변화, 자연과 생물다양성 손실, 오염과 폐기물의 전 지구적 삼중 위기와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자주의를 주요 안건으로 하였다. UNEA는 2014년부터 지금까지 지속가능발전, 대기해양환경, 오염 및 폐기물, 빈곤 등의 주요 환경 현안을 논의해왔다. 기후변화(온난화) 분야는 1980년대 후반부터 논의가 이루어져왔으나 파리협정 등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빠르면 2027년에 1.5°C 임계값을 초과할 것으로 예상된다. 생물다양성 역시 아이치타겟의 제시에도 불구하고 60개 세부목표 중 6개만이 진전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나머지는 변화가 없거나 목표가 달성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었다. 최근 들어서야 국제 협약 제정이 논의되고 있는 플라스틱 (오염 및 폐기물 분야)에 관한 논의 역시 이해관계로 인해 큰 진전이 없었으며 2024년 11월 대한민국 부산에서 5차 정부 간 협상위원회가 개최되었으나 국제 합의는 이루지 못하였다. 이 외에도 우리나라는 IPCC 제7차 평가주기 및 평가보고서 대응을 위한 방안 논의 및 TNFD 포럼에 가입하는 등의 대응을 하고 있으며 앞으로는 정량적인 국제적 협의 및 조항 제정뿐만 아니라 실제적인 행동이 문제 해결의 핵심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COLLAPSE
    31 December 2024
  • Short Communications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a Dendrometer for Tracking the Micro-level Growth of Trees

    수목의 미세수준 생장 추적을 위한 자동 수목생장측정기의 효능성 평가

    Jaeyeon Lee, Mira Kim, Jeong-Soo Park, Hyohyemi Lee

    이재연, 김미라, 박정수, 이효혜미

    Manual tree growth measurement devices have limitations for providing continuous data to detect short-term tree growth variations and also to identify long-term …

    수동 수목생장측정기는 간헐적 데이터 수집과 낮은 정밀도로 인하여 단기적인 수목생장 변화를 감지하거나, 장기적인 생장 추세 파악을 위한 연속적 자료 제공에 한계가 있다. …

    + READ MORE
    Manual tree growth measurement devices have limitations for providing continuous data to detect short-term tree growth variations and also to identify long-term trends of tree growth due to intermittent data collection and lack of precision. In recognition of the need for tree growth monitoring, this study evaluated the fitness of automatic tree growth measurement devices for ecosystem management and climate change research. For this purpose, we installed auto point dendrometers on Quercus mongolica trees of similar size on Mt. Jeombongsan, Mt. Namsan, and Mt. Jirisan. We then measured the changes in temperature and tree growth for from 30 March to 22 October 2024. Temperature and stem diameter data were collected at 10-minute intervals over the course of the 207-day study period,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o assess and compare the annual growth differences of Q. mongolica across the different sites. As a result, the average temperature was 20.7°C in Namsan, 16.2°C in Mt. Jeombongsan, and 15.0°C in Mt. Jirisan, with Mt. Namsan having the highest temperature, while the diameter growth was 0.37 cm in Jirisan, 0.28 cm in Mt. Namsan, and 0.27 cm in Mt. Jeombongsan, with Mt. Jirisan having the largest growth. Despite the short period of time, the automatic tree growth meters were able to be used to measure daily changes in tree growth among the sites over time. Therefore, The research method utilizing an automatic tree growth measurement device is expected to overcome the shortcomings of conventional manual tree measurement methods, such as gaps in data collection, low precision, and substantial labor demands. This method enables accurate and continuous data collection, which is crucial for studying tree growth to assess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and carbon storage.


    수동 수목생장측정기는 간헐적 데이터 수집과 낮은 정밀도로 인하여 단기적인 수목생장 변화를 감지하거나, 장기적인 생장 추세 파악을 위한 연속적 자료 제공에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수목 생장 모니터링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자동 수목생장측정기가 생태계 관리와 기후 변화 연구를 수행할 때의 효용성을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자동 포인트형 수목생장측정기(Auto point dendrometer)를 직경이 비슷한 신갈나무(Quercus mongorica) 9개체에 설치하였으며, 연구대상지는 기후 조건이 다른 점봉산, 남산 및 지리산이었다. 2024년 3월 30일부터 10월 22일까지 온도와 수목직경 생장량을 측정하였다. 데이터는 10분 간격으로 수집되었으며, 이 데이터는 각 지역에서의 연간 직경생장 차이 분석에 활용되었다. 연구 결과, 평균온도는 남산이 20.7°로 가장 높았으며, 점봉산은 16.2°C, 지리산은 15.0°C로 나타났다. 반면, 수목 직경생장량은 지리산 0.37 cm, 남산 0.28 cm, 점봉산 0.27 cm 순으로 지리산에서 생쟝량이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단기간의 조사임에도 불구하고, 자동 수목생장측정기는 시간 경과에 따른 각 지역의 수목생장 변화를 추적하는 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었다. 따라서, 자동 수목생장측정기를 이용한 연구 방법은 데이터 수집 격차, 낮은 정밀도, 높은 노동 요구와 같은 기존 수동 수목 측정 방법의 단점을 극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 방법은 정확하고 지속적인 데이터 수집을 가능하게 하며, 이는 기후변화와 탄소 저장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수목 생장을 연구하는 데에 필수적이다.

    - COLLAPSE
    31 December 2024